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68

채널은 나뉘어도, 콘텐츠 흐름은 하나여야 한다 콘텐츠가 많아도 ‘흐름’이 없으면 전환이 안 된다SNS에 글을 올리고, 블로그에도 포스팅하고, 이메일로 뉴스레터를 보내고…하지만 이 콘텐츠들이 따로 논다면, 브랜드 메시지는 분산되고 전환 흐름도 끊긴다.모든 채널은 하나의 퍼널로 연결돼야 한다.각 채널의 역할 정리채널주요 역할 SNS (인스타, X 등) 첫 노출, 공감/참여 유도, 짧은 주목 콘텐츠 블로그 (티스토리 등) 검색 유입, 신뢰 강화, 장문 콘텐츠 축적 이메일 뉴스레터 개인화된 연결, 반복 전환, 장기 리텐션1차 콘텐츠로 끌어오고 → 2차 콘텐츠로 신뢰를 만들고 → 이메일로 연결해서 전환을 유도하는 흐름이 핵심이다.실전 흐름 예시 Day 1: SNS 콘텐츠 발행 → 인스타 카드뉴스 “루틴이 망가지는 이유 3가지” Day .. 2025. 6. 5.
콘텐츠는 쓰는 게 아니라, 관리하고 다시 쓰는 것이다 1번 쓰고 끝나는 콘텐츠는 ‘수고’일 뿐이다콘텐츠를 만들기 위해 시간과 에너지, 전략을 쏟아부었다.그런데 그걸 한 번 쓰고 끝낸다면? **퍼널이 아니라, 그냥 게시물일 뿐이다.**콘텐츠는 분류하고, 쪼개고, 다시 엮어서 계속 활용할 수 있어야 자산화된다.콘텐츠를 분류하는 4가지 기준 ① 목적별 → 리드 유입 / 전환 / 후기 / 리텐션 / 브랜드 인식 등 ② 채널별 → 블로그 / 인스타그램 / 이메일 / PDF 등 ③ 콘텐츠 형식별 → 리스트형 / Q&A형 / 비교형 / 사례형 / 인사이트형 ④ 제품 연결성 → 어떤 디지털 제품과 연결되는 콘텐츠인지콘텐츠는 목적이 있어야 관리할 수 있고, 관리할 수 있어야 다시 꺼내 쓸 수 있다.재활용 콘텐츠 전략 – 최소 3번 써먹기.. 2025. 6. 5.
콘텐츠는 매일 만드는 게 아니다. 매주 흘러가게 설계해야 한다 콘텐츠 운영은 체력전이 아니라 구조전이다하루에 한 번 글을 쓰고, 매번 SNS에 올리고, 블로그 글을 직접 예약하고…이 모든 걸 매번 반복하면 지치고 멈추게 된다.그래서 필요한 게 ‘루틴 자동화 시스템’이다.주간 콘텐츠 루틴 자동화 기본 구조 ① 콘텐츠 기획 → 제작 → 배포 흐름 정리 ② 일/주 단위 반복할 수 있는 포맷 만들기 ③ 도구를 활용해 배포 루틴을 자동화실전 루틴 예시 (1인 기준)요일업무자동화 요소 월 콘텐츠 주제 기획 3~5개 Notion 콘텐츠 캘린더 활용 화 1개 콘텐츠 초안 작성 + 썸네일 제작 템플릿 복사 → 바로 작성 수 블로그/인스타 업로드 예약 아임웹, Buffer, Meta Planner 등 활용 목 이메일 뉴스레터/리마인드 콘텐츠 설정 Mai.. 2025. 6. 4.
콘텐츠를 운영하는 사람은, 3가지 축부터 만든다 콘텐츠는 감이 아니라 구조로 운영돼야 한다처음엔 즉흥적으로 쓰던 콘텐츠도 브랜드가 성장할수록 *‘운영 체계’*가 필요해진다.이때 가장 기본이 되는 게 콘텐츠 운영의 3가지 축: 기획 / 제작 / 배포다.1. 기획: 브랜드 중심 콘텐츠 뼈대 만들기 ① 핵심 테마 정리 → 예: 루틴 설계, 자동화 시스템, 퍼널 전략 ② 콘텐츠 카테고리 정렬 → 인사이트 / 툴 / 퍼널 설계 / 마인드셋 등 ③ 타깃별 콘텐츠 흐름 구분 → 입문자용 / 실전용 / 유지관리 팁 등콘텐츠는 랜덤하게 쌓지 말고, 시리즈처럼 흐름을 타게 기획해야 자산이 된다.2. 제작: 반복 가능한 제작 포맷 정리 ① 콘텐츠 템플릿 구성 → 글 형식, 이미지 배치, 문장 마무리 스타일 ② 콘텐츠 제작 루틴화 .. 2025. 6. 4.
지금 만드는 콘텐츠는, 팔릴 콘텐츠인가? 남을 콘텐츠인가? 모든 콘텐츠가 브랜드 자산이 되는 건 아니다우리는 지금까지 블로그, 뉴스레터, 전자책, 템플릿, 퍼널 콘텐츠까지 만들어왔다.이 콘텐츠들이 모두 **수익을 만들 수는 있지만**, 모두 브랜드 자산이 되는 건 아니다.이번 글에서는 “수익용 콘텐츠”와 “브랜드 자산 콘텐츠”의 결정적인 차이를 기준으로 콘텐츠 운영 전략을 시작해보자.콘텐츠 수익 시스템이란?콘텐츠 수익 시스템은 ‘팔기 위한 콘텐츠’를 자동화된 퍼널 위에 얹어 반복 수익을 만드는 구조다.- 목적: **단기 전환과 판매** - 구성: 리드 마그넷, 세일즈 콘텐츠, CTA 흐름 - 운영: 자동화 이메일, 블로그, SNS 콘텐츠즉, 수익을 만드는 콘텐츠 = 퍼널 중심 구조브랜드 자산 콘텐츠란?브랜드 자산 콘텐츠는 **당장 전환이 없어도,.. 2025. 6. 4.
팔리는 콘텐츠가 아니라, 계속 팔리는 구조를 만들자 디지털 제품은 ‘팔릴 때만 작동하는 구조’가 아니다자동화 퍼널이 한 번 세팅되면 그걸로 몇 주, 몇 달 수익이 나올 수 있다.하지만 정말 강력한 구조는 6개월, 1년이 지나도 여전히 수익을 만들어주는 자산 구조다.이번 글은 바로 그걸 위한 ‘장기 유지 전략’을 알려준다.장기 자동화 수익 구조의 3가지 조건 ① 휘발되지 않는 콘텐츠 → 시즌/트렌드에 좌우되지 않는 ‘문제 중심 콘텐츠’ ② 반복 노출 구조 → 블로그, 이메일, 검색 유입 등 자동화된 접점 ③ 정기 점검/리프레시 시스템 → 점검 루틴과 리디자인/리마케팅 전략 포함장기 수익 구조를 위한 실전 전략1. 콘텐츠 → 자산화 전략- 단일 콘텐츠 → 시리즈 콘텐츠화 - 블로그 글 → PDF 가이드/이북 변환 - 후기/사례 → 뉴스레터/.. 2025. 6.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