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68

퍼널은 내부가 아니라, 유입과 연결될 때 작동한다 브랜드 퍼널은 내부 구조에만 머물러선 안 된다콘텐츠도 만들고, 자동화도 세팅했고, 반복되는 수익 흐름도 설계됐다.하지만 이제는 중요한 단계로 넘어가야 한다. 퍼널은 외부에서 사람들이 들어와야 작동한다.지금부터는 **브랜드 내부 퍼널을 마케팅 채널과 연결해 트래픽을 유입시키는 구조**를 만들 차례다.기존 퍼널 구조 복습 콘텐츠 → 무료 리소스 → 이메일 시퀀스 → 제품 제안 블로그 / SNS / 뉴스레터 / PDF → 구매 전환 흐름 후기 → 재구매 → 반복 수익 구조이 구조는 잘 작동하지만, 트래픽이 늘지 않으면 수익도 정체된다.마케팅 퍼널이란?브랜드 퍼널이 내부 고객을 설득하는 구조라면, 마케팅 퍼널은 ‘바깥의 사람’을 안으로 데려오는 흐름이다.- SNS → 구독 유입 - 블로그 → 리드.. 2025. 6. 7.
콘텐츠는 반복할수록, 자산이 된다 콘텐츠 루틴은 만들기보다, 쌓이게 설계해야 한다콘텐츠를 매주 정해진 시간에 올리고, 시즌마다 기획도 하고, 템플릿도 있다.하지만 그렇게 열심히 만든 콘텐츠들이 3개월 뒤, 6개월 뒤에도 작동하고 있는가?진짜 콘텐츠 자산화는 ‘반복 콘텐츠’가 브랜드 기억으로 남을 때 일어난다.반복 콘텐츠 → 브랜드 자산 되는 조건 ① 형식이 일관적이다 → 브랜드 문체, 썸네일 스타일, 구성 흐름 통일 ② 메시지가 반복된다 → “자산화, 자동화, 루틴, 흐름” 같은 핵심 단어 반복 ③ 리포지션이 가능하다 → 1차 콘텐츠 → 요약 → 카드뉴스 → 템플릿화 ④ 아카이브가 있다 → Notion, 블로그, 유튜브 재생목록 등 정리된 구조콘텐츠 루틴을 자산화하는 실전 전략1. 루틴 콘텐츠는 카테고리화하자- 매주 .. 2025. 6. 7.
콘텐츠를 쌓고 싶다면, Notion으로 시스템부터 만들어라 콘텐츠 시스템이 없으면, 자산은 쌓이지 않는다“이거 예전에 쓴 적 있었나?” “이 콘텐츠 어디까지 배포했지?” “이거 다시 써먹어도 되나?”콘텐츠가 많아지면, 관리 구조 없이는 자산화가 불가능해진다.그래서 필요한 게 **Notion 콘텐츠 작업 시스템**이다.Notion 콘텐츠 시스템 핵심 구성 ① 콘텐츠 캘린더 (주간/월간) → 언제 무엇을 올릴지 한눈에 ② 콘텐츠 카드(데이터베이스) → 콘텐츠명 / 형식 / 주제 / 상태 / 배포 여부 등 ③ 리사이클 박스 → 재활용 가능한 콘텐츠 정리 ④ 스타일 가이드 링크 → 매번 참고 가능한 브랜드 기준 정리콘텐츠 카드 속성 예시속성예시콘텐츠명디지털 노마드 루틴 자동화 전략주제 카테고리루틴 / 자동화 / 생산성형식리스트형 / 흐름형 / 인사이트.. 2025. 6. 6.
콘텐츠를 많이 만들수록, 스타일이 더 중요해진다 브랜드는 디자인이 아니라 스타일로 기억된다사람들은 “이 글 너 글 같더라”는 말을 왜 할까?그건 시그니처 폰트나 색깔이 아니라, 일관된 말투, 단어 선택, 문장 구조, 강조 방식이 반복되기 때문이다.브랜드 콘텐츠는 ‘스타일’에서 생긴다.콘텐츠 스타일 가이드란?스타일 가이드는 브랜드 콘텐츠의 말투, 톤, 시각 요소, 구성 기준을 정리한 문서다.1인 브랜드 기준으로도 꼭 필요한 이유는 혼자 할 때도 흔들리지 않고, 외주를 맡겨도 스타일이 유지되기 때문이다.기본 구성 요소 5가지 1. 톤앤무드 정의 → 예: 진지하지만 친근한, 반말 + '-이다' 어투, 핵심 정리형 2. 브랜드 언어 → 자주 쓰는 단어/표현: 자동화, 루틴, 자산화, 구조, 흐름, 고고, 웅웅 등 3. 콘텐츠 포맷 구조.. 2025. 6. 6.
퀄리티는 반복 가능한 기준에서 만들어진다 퀄리티는 ‘잘하려는 마음’보다 ‘기준 있는 반복’에서 나온다콘텐츠가 많아지면 자연스럽게 퀄리티가 떨어질 수밖에 없다. 특히 외주 없이 혼자서 운영할 경우엔 더욱 그렇다.하지만 콘텐츠의 퀄리티는 감각이 아니라 ‘반복 가능한 구조’에서 만들어진다.1. 퀄리티의 기준을 정해라 ① 브랜드 톤앤무드 설정 → 문체 / 색감 / 이모지 사용 / 말투 정리 ② 콘텐츠 포맷 고정 → 인스타: 카드뉴스 5장 / 블로그: 인트로 → 리스트 → 예시 → 요약 구조 ③ 마무리 방식 통일 → CTA 문구, 요약 박스, 썸네일 키워드 스타일**기준이 생기면 퀄리티가 안정되고, 디자인 없이도 브랜드가 느껴진다.**2. 콘텐츠 제작 루틴 자동화 📅 주간 캘린더 – 월: 기획 / 화~목: 제작 / 금: 배포 📁 .. 2025. 6. 6.
콘텐츠도 계절을 타야 오래 간다 콘텐츠도 계절을 탄다사람들은 시기마다 관심사가 바뀌고, 그에 따라 콘텐츠에 반응하는 방식도 달라진다.예를 들어:- 1월: 새해 목표, 루틴, 자기계발 - 3월: 학기 시작, 정리, 생산성 - 7~8월: 여행, 자유, 일과 쉼 - 11~12월: 회고, 마무리, 자기정비이런 리듬에 맞춰 콘텐츠를 기획하면, 브랜드는 공감과 전환을 동시에 얻는다.시즌별 콘텐츠 캠페인이란?시즌형 콘텐츠는 단순히 ‘계절 콘텐츠’가 아니라 특정 시기에 집중적으로 하나의 메시지를 전달하는 흐름형 콘텐츠다.예시: 🗓️ 3월 – “루틴 다시 세우기 7일 캠페인” 🌞 8월 – “여행 중에도 가능한 자동화 루틴” 🍂 10월 – “콘텐츠 자산 점검 프로젝트” 🎄 12월 – “1년 회고 + 마이 콘텐츠 아카이브 만들기”.. 2025. 6.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