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빌리노마드 입문서

관심 → 전환 → 리텐션, 수익은 흐름 위에 있다

by billino 2025. 5. 23.

수익은 ‘단계’ 없이 만들어지지 않는다

수익화에 실패하는 가장 흔한 이유는 모든 과정을 한 번에 처리하려 하기 때문이다. 방문자가 들어오면 바로 구매를 기대하고, 댓글 하나 달렸다고 곧바로 DM을 보낸다.

하지만 진짜 수익 구조는 단계적으로 작동한다. 이 흐름은 언제나 ‘관심 → 전환 → 리텐션’이라는 3단계 구조 위에 세워져 있다. 이걸 먼저 이해해야 ‘왜 지금 돈이 안 들어오는지’를 설명할 수 있다.

① 관심: 유입이 없으면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는다

‘관심’은 콘텐츠를 통해 트래픽이 유입되는 첫 지점이다. 여기서 핵심은 “누가, 어떤 키워드나 콘텐츠로 들어오는가”이다.

주요 채널은 블로그, 인스타그램, 유튜브, 뉴스레터 등이며 이곳에서 자산 콘텐츠가 작동해야 한다. 단순한 글이 아니라, 검색되거나 저장되거나 공유되는 콘텐츠여야 유입의 지속성이 유지된다.

② 전환: 관심은 있지만 행동이 없을 때 구조가 무너진다

많은 사람들이 유입은 잘 되고 있다고 말한다. 하지만 ‘그 다음 단계’가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즉, 전환 장치가 없는 콘텐츠다.

전환이란 단순히 구매만을 말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대부분의 경우, 콘텐츠 → 구독 → 무료 리소스 → 이메일 구독 같은 흐름으로 ‘리드’가 확보된다.

전환은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설계할 수 있다.

  • 블로그 글 하단에 구독폼/링크 삽입
  • 인스타 스토리에서 ‘링크 스티커’ 활용
  • 뉴스레터에서 무료 리소스 안내하기
  • “더 보고 싶다면 여기를 클릭하세요” 같은 자연스러운 CTA 배치

이 흐름이 없다면, 아무리 좋은 글도 그냥 흘러가버린다.

③ 리텐션: 구매보다 중요한 것은 재방문과 신뢰

리텐션은 방문자 혹은 리드가 나와 다시 연결되고, 반복적으로 접촉하는 구조를 의미한다. 이는 이메일 시퀀스, 자동 DM, 무료 콘텐츠 시리즈, 또는 뉴스레터 구독 등으로 작동할 수 있다.

이 단계에서는 단순히 ‘제품을 파는 글’보다 “나와의 관계를 이어주는 구조”가 중요하다. 고객이 구매를 하지 않아도 ‘이 사람은 나한테 필요한 정보를 주는 사람’이라는 신뢰가 쌓이기 때문이다.

이 구조는 자동화로 연결되기 위한 전제 조건이다

자동화 수익 시스템은 마법이 아니다. 이 3단계 흐름이 없으면 어떤 도구를 써도 의미가 없다.

반대로, 이 흐름만 정확하게 설계되어 있다면 블로그, 이메일, 자동화 툴, 예약 발송 시스템 등이 정말로 ‘돈이 흐르는 루틴’으로 연결될 수 있다.

관심 → 전환 → 리텐션 이 3단계는 앞으로 다룰 모든 퍼널 전략, 자동화 전략의 **뼈대이자 기준점**이 된다.

반응형